정보보안21 정보보호론/정보보안기사 정보보호개요 1. 보안 목표 기밀성 기밀성은 정보보안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분야이다. 기밀정보는 보호되어야 하며 조직은 정보의 기밀성을 위협하는 악의적인 행동들에 대응해야 한다. 조직의 운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경쟁자에게 정보를 숨기는 것은 아주 중대한 일이다. 무결성 정보는 지속적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은행에서 고객이 돈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때, 그 계좌의 금액은 변경되어야 한다. 무결성은 변경이 인가된 자에 의해서 인가된 메커니즘을 통해서만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용성 정보 보안의 세 번째 요소는 가용성이다. 조직이 생산하고 저장하는 정보는 인가된 자가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용할 수 없는 정보는 쓸모가 없다. 정보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이는 인가된 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 2023. 2. 12. 정보보안기사/정보보호론 네트워크 개요 OSI 7계층, TCP/IP 5계층 1. 네트워크 개요 프로토콜 프로토콜 정보의 송 수신자측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또는 규범이다. 프로토콜은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한 것인가를 규정한다. 구문 -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 데이터가 표현되는 순서 의미 - 비트의 영역별 의미 타이밍 - 언제 얼마나 빠른속도로 전송할것인가 2. OSI 모델과 TCP/IP 프로토콜 (1) OSI 7계층 1계층 물리계층 : 물리매체상 전송하는 역활을 담당하는 계층 2계층 데이터링크 : 물리계층에서 전송하는 비트에 대한 비트 동기 및 식별 흐름제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오류제어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송신자측에서 수신자 측까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 하기 위해서 논리적 링크를 설정하고 상위계층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역활.. 2023. 1. 26. 디지털 포렌식 분석 디지털 포렌식 분석 1. 디스크 브라우징 분석에서 기본이 되는 분석 대상은 확보한 저장 매체에서 수집한 저장매체의 이미지 파일이다. 이미지 파일의 내부를 재구성하여 별도의 응요 프로그램 없이 탐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디스크 브라우징 툴로는 FTK, Encase, X-Ways Forensics, Autospy 등이 있다. 2. 데이터 뷰잉 파일 포맷이 있는 데이터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해서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뷰일 툴 Transcript, Picture, Text, Report View 등이 있다. 3. 데이터 검색-일반 검색(키워드 검색) 로우 서치 - 단순한 일회성 검색일 경우 이용한다. 인덱스 서치 색인을 생성한 뒤 검색하는 방식 - 키워.. 2022. 8. 12. 디지털 포렌식 디지털포렌식이란 각종 디지털 기기나 인터넷에 있는 데이터를 수집ㆍ분석하여 범죄의 증거를 확보하는 수사 기법으로 사전적 의미로 사용된다. 디지털 포렌식의 유용성 로그기록 감시 데이터 복구 데이터의 추출 및 파기 디지털포렌식의 일반 원칙 정당성 : 디지털 포렌식 과정에서 획득된 모든 증거는 적법한 절차를 거쳐서 정당하게 획득한 것이 야한다는 원칙이다. 무결성 : 디지털 포렌식의 증거가 법정에 제출되기까지 변경이나 훼손 없이 보호되어야 한다. 연계보관성 : 디지털 포렌식에서 증거가 획득되고 난 뒤, 이송, 분석, 보관, 법정 제출의 일련의 과정 및 각 과정마다의 담당자가 명확하여야 한다. 재현성 : 동일한 조건과 동일한 상황 아래에서의 디지털 포렌식 분석 결과는 항상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신속성 : 디지.. 2022. 8. 12. 이전 1 2 3 4 5 6 다음